Java
-
서블릿의 응답과 요청: 헤더값 알아내기Let's Code/Server 2019. 8. 30. 23:26
WAS는 서블릿과 웹 브라우저를 이어주는 중간 관리자 같은 개념인데 서버의 과부하를 막기 위해 고안되었다고 한다. (아마도) JAVA는 *객체 지향* 즉, 객체를 생성하여 정보를 보관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다. (객체 지향의 뜻이 뭘까 고민했는데 생각보다 간단했다) 만약 웹 브라우저가 처음에 요청을 넣으면, HttpServletRequest라는 객체가 생성된 후, 이를 서블릿에 전달한다. 이 때 보관되는 정보는, 1) 헤더정보 2) 파라미터 3) 쿠키 4) URI 5) URL 등이 있다. 반대로 서블릿이 응답하면, 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생성한 후, 이를 웹 브라우저에 전달한다. 이 때 보관되는 정보는 1) content type 2) 응답코드 3) 응답 메시지 등이 있다. 헤더 정보를 ..
-
서블릿(Servlet)의 라이프싸이클(LifeCycle)Let's Code/Server 2019. 8. 30. 00:39
버전에 따른 Servlet 작성 방법 1. Servlet 3.0 spec 이상에서 사용하는 방법 web.xml 파일을 사용하지 않습니다. 자바 어노테이션(annotation)을 사용합니다. 실제 servlet tag 안에서 Servlet-name을 매치시키는 작업 서블릿을 생성할 때 URL mapping을 통해 조절 가능 2. Servlet 3.0 spec미만에서 사용하는 방법 servlet을 등록할 때 web.xml 파일에 등록합니다. Java annotation이 하는 일을 얘가 대신 함 (실행시킬 서블릿을 확인) 서블릿의 Life Cycle @WebServlet("/LifecycleServlet") public class LifecycleServlet extends HttpServlet { priv..